1965년 6월 12일,
메사돈 사건, 정치 쟁점화
전국적으로 갑자기 마약 중독 증상을 보이는 이들이 급증했다. 정부가 조사에 나섰으나 합법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진통 주사제가 널리 퍼져 있다는 사실 외엔 밝혀내지 못했다. 그 성분 속에 정체를 알 수 없는 제 3의 물질이 들어 있다는 것은 확인했지만 그것이 무엇인지는 계속 '연구 중'이었다. 그러는 사이 고달픈 농사일을 하는 농부들, 바다에 나간 어부들은 궤짝으로 진통제를 싣고 다니면서 그 신묘한 진통제를 먹었고 1965년 3월 정부 집계 3만, 전문가들에 따르면 10만으로 추산되는 중독자가 생겨났다.
시중 유통 중인 진통제에서 합성마약 메사돈이 검출됐다고 발표하는 국과수
제 3의 물질의 정체가 '메사돈(Methadone)'이었다. 메사돈은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에서 모르핀 대용으로 개발한 진통제로 1946년부터 사용되었으며 아미돈, 돌로핀, 메사돈이란 상품명으로 유통되었다. 아편제에 의한 마약중독치료에도 사용되어 왔으나 내성이나 의존성, 금단증상을 일으키고 과량복용 시 사망까지도 초래하는 글자 그대로의 마약 성분이었다.
1965년 6월 12일 합성마약 메사돈을 넣어 진통제를 불법 제조, 판매해온 국도제약사의 박인선이 구속됐다. 보건사회부는 의약품에서 검출된 이물질의 정체를 밝히지 못해 고심하던 끝에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감정을 의뢰, 이 제3의 물질이 합성마약 메사돈임을 밝혀냈다.
조사과정에서 마약제조범은 서울대 약대 출신의 임국선임이 밝혀졌고, 영남, 유니언, 백십자 등 10여 개 회사가 비슷한 짓을 하고 있었음이 드러났다. 충북 약무계장 이재욱 등 보사부 관리와 공화당 소속 국회의원 신관우가 수뢰혐의로 입건됐다. 밀수조직, 공무원, 유통업자 등 66명이 쇠고랑을 찼고 이 파동 속에서 굵직한 제약회사 20곳이 문을 닫아야 했습니다. 보사부장관부터 약무국장까지 보건관리 7명도 옷을 벗어야 했다.
마약 성분의 진통제를 만들어 돈을 벌고 그 돈은 고위 공무원과 국회의원들과 함께 나누어 뒤탈을 막는 극악하기 이를 데 없는 장사꾼들의 행각이었다. 그들 때문에 마약류와는 일 점 관련이 없는 선량한 사람들이 마약 중독자가 되었고, 심대한 고통을 겪어야 했다. 이 사건은 마약을 허가된 의약품에 섞어 제조, 판매했다는 점과, 이를 정부관리나 국회의원이 뇌물을 받고 묵인해주었다는 점에서 사회에 커다란 충격파를 던져주었다.
'역사속에 오늘, 6월 > 6월 12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제4회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에서 4위 기록 (0) | 2017.05.05 |
---|---|
대한민국의 중앙은행, 한국은행 창립 (0) | 2017.05.05 |
안네 프랑크, `안네의 일기`를 쓰기 시작 (0) | 2017.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