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에 오늘, 9월/9월 29일

북한, 한국에 수재물자 제공

산풀내음 2016. 8. 28. 03:36

 

19849 29,

북한, 한국에 수재물자 제공

 

1984 9 29일 오전 10 5분 북한적십자회의 쌀 포대를 가득 실은 트럭들이 판문점 군사분계선을 넘었다. 한국의 수재민을 돕기 위해 북한이 보낸 구호물자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곡수출회사’라고 선명하게 찍힌 쌀 포대를 주고받는 장면은 분단국 당사자뿐만 아니라 세계인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했다.

이날부터 10 4일까지 남북간 합의에 따라 판문점, 인천항, 북평항(동해항)을 거쳐 수재물자가 남한으로 인도되었다.

 

6·25전쟁 종전 31년 만에 처음으로 북한이 남한에 보낸 쌀자루가 대성동 마을 야적장에 쌓이는 것을 보고, 국민들은 남북한 간 원활한 교류의 단초가 되길 희망했다. 그리고 경제난에 허덕이는 북한이 오히려 형편이 나은 남한에 건넨 구호품에 세계는 의아해 했다. 1983년 기준 국민총생산(GNP)은 한국이 753억 달러, 북한이 145억 달러였다. 5.2 1의 격차였다.

 

1984 831일부터 4일간 서울, 경기, 충청 일원에 내린 집중호우로 서울지역이 최악의 홍수사태를 겪었다. 한강이 위험수위인 10.5m를 넘어서면서 한강대교 등 4개의 차량통행이 전면 통제됐고, 161개 지역 22500가구에서 9380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저지대인 강동구 풍납동과 성내동 등은 주택들이 물에 잠기며 ‘수중고도’가 돼 버렸다. 초·중·고는 물론 대학교까지 휴교령이 내려지는 대형 수재였다. 전국적으로는 사망 및 실종 189, 이재민 351000, 부상 153명에 피해액은 1333억 원에 달했다.

 

 

남한의 수해소식을 전해들은 북한은 98일 방송을 통해 수해지역 이재민들에게 쌀 5만석, 옷감 50m, 시멘트 10t, 의약품 등을 보내겠다고 제의했다. 남측은 이 제의를 수용할 것인지를 두고 고심했다. ‘정치공세’에 이용될 것이라는 우려가 내부에서 적지 않았다.

 

국제 적십자사의 구호물자 제공제의조차 사양한 터였고, 한해 전인 1983 109일 버마에서 발생한 아웅산 테러의 앙금도 가라앉지 않았던 시점이다. 즉 북한의 특수 요원이 제3국에까지 와서 전두환의 목숨을 노렸고, 정부의 핵심 인사들의 목숨을 대신 앗아갔던 사건이 발생한 지 채 1년도 지나지 않은 시점이었다. 하지만 전두환은 그 원수들과의 끈을 어떻게든 잡고자 했다.

당시 전두환 정부로서는 86년 아시안게임과 88년 서울 올림픽개최를 앞두고, 한반도의 평화분위기 조성이 무엇보다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대한적십자사는 914일 수락성명을 발표했고, 이어 18일 대한적십자사 이영덕 부총재와 북한적십자사 한웅식 부위원장 등이 판문점에서 실무접촉을 가졌다. 북측은 처음에 자동차와 배편으로 서울, 속초, 부산에 구호물자를 수송하고 북한기자들이 수해지역을 직접 방문하겠다는 제안을 내놓았지만 결국 판문점과 인천항, 북평(동해)항으로 최종 타결됐다.

 

사실 남한 정부의 수락은 의외였다. 그 전에는 그런 제의가 나오면 서로 거절하는 게 관례였고 이미 남한 정부는 국제적십자사의 구호물자 제공도 거절한 상황이었기 때문이었다.

물자교류를 처음 제안한 쪽은 북한이었다. 1954년 남일 외무상이 제네바 회의에서 남북한 경제 교류를 위한 위원회 구성을 제안하는 등 북한은 1970년 초반까지 6차례 경제교류 방안을 제시했다. 한국도 1970년대 후반부터 몇 차례 식량 무상원조를 제의했다. 주기보다 받기가 어려워 번번이 무산된 것이었다.

 

북한은 크게 당황했다. 북한에 한국의 수재민을 지원할 만한 물자가 준비된 것이 있을 리가 없었다. 북한은 비밀리에 김환 부총리와 현준극 당국제부 부부장을 북경에 파견해 조자양(趙紫陽) 총리를 면담하고, 중국 측의 지원을 요청했다.

북한이 중국 측에 요구한 것은 한국 쪽에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수재물자의 전량을 지원해 달라는 것이었다. 중국은 북한이 요구하는 물량의 2분의 1을 지원하기로 하고 북한이 지원할 시멘트, , 직물, 의약품 같은 구호품은 물품이 아닌 중국이 지원 약속한 물량의 가격만큼 석유 대금 체납액에서 삭감해 주고, 직물의 일부만을 현물로 제공하기로 했다. 결국, 북한이 한국에 제공한 수재물자들은 모두 북한 기업들이 밤을 세워가며 생산을 했지만, 그 비용의 상당 부분은 중국이 지불한 셈이 되었다.



10 2, 평양에서 구호물자를 싣고 있다.

 

929일부터 104일까지 육·해로를 통해 북한 적십자의 수해물자가 전달됐고, 남한 측은 수재물자 인수를 마치고 트럭 34대 분의 카세트, 라디오, 팔목 시계 등 18개 품목이 든 선물가방 848개를 답례선물을 전달했다.


 

1984 9 30일 강원도 북평항

 



북한 쌀은 수해지역 주민들에게 33㎏에서 66㎏까지 분배됐다. 쌀이 좋지 않다고 떡을 해먹는 이들도 있었지만 북녘 쌀로 제사를 지내겠다는 실향민들도 있는 등 반응은 다양했다. 북한물자가 인도되던 마지막 날 일간지들은 ‘위장술책 속게 되면 남북대화 공전한다’는 대공표어를 싣기도 했다.

 

북한 적십자사의 수해물자 지원은 한국전쟁 이후 최초의 남북간 물자교류로 기록됐고, 얼어붙은 남북관계에 물꼬를 트는 구실을 했다. 물자가 인도된 지 8일 만인 1012일 남측은 신병현 당시 부총리가 남북경제회담 개최를 제의하며 화답했다. 이듬해인 1985년에는 73년 이후 중단됐던 남북적십자 본회담이 12년 만에 재개됐으며 9월에는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북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