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에 오늘, 1월/1월 29일

국채보상운동

산풀내음 2016. 12. 3. 09:31

19071 29,

국채보상운동

 

1905년 일본은 을사조약을 통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했다. 당시 개화파 지식인을 중심으로 교육·산업을 장려해 민족의 실력을 향상시켜 국권을 회복하자는 ‘애국계몽운동’이 전개되었다. 이준 등은 서울에서 헌정연구회를 조직하여 활동하다가 1906년 대한자강회로 확대 개편했다. 대구에서는 1906년 김광제의 건의에 따라 거상 서상돈 등이 돈을 모아 광문사(廣文社)를 만들어 신교육구국운동을 추진했다. 광문사는 신교육을 위해 필요한 교과서, 계몽잡지, 신문, 교양서적을 발간해 보급하기 위한 인쇄소 역할을 했다. 1907 1 29일 광문사 부사장인 서상돈이 국채보상 문제를 들고 나섰다. 당시 서상돈의 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채 일천삼백만원을 갚지 못하면 장차 토지라도 허급(달라는 대로 허락하여 베풀어 줌)할 것인데, 지금 국고금으로는 갚지 못할지라. 우리 이천만 동포가 담배를 석 달만 끊고 그 대금 매삭(매달, 다달이) 매명하(한 사람마다) 이십 전씩만 수합하면 그 빚을 갚을 터인데 … 중략 … 어찌 힘 아니 드는 담배 석 달이야 못 끊을 자 어디 있으며 설혹 사람마다 못 끊더라도 일원으로 천, 백원까지 낼 사람이 많을 지어니 무엇을 근심하리오. 나부터 팔백원을 내노라.

 

서상돈의 주장에서 알 수 있듯이 1907년에 한국정부가 짊어진 외채는 총 1300만원(지금의 금액으로 환산하면 3,300억 원)이나 되었다. 당시 한국정부의 세입액에 비해 세출부족액은 77만여 원이나 되는 적자예산으로 거액의 외채상환은 불가능한 처지였다.

 

서상돈 등이 발기하여 전국민이 국채를 상환하여 주권을 회복하자는 취지로 전개된 국채보상운동이 국민대회를 열고 국채지원금수합사무소를 설치하여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전국민의 호응을 얻고 각종 신문이 후원하여 신문 캠페인도 벌였다. 이 운동이 실시된 이후 4월말까지 보상금을 의연한 사람은 4만여 명이고 보상금액은 230만원 이상이었다.

이와 같이 국채보상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일제는 이 운동을 극력 탄압 금지함에 따라 더 이상 전진 없이 좌절되고 말았다.

 

서상돈 선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