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7년 2월 10일,
박정희 대통령, 임시행정수도 건설 구상 발표
1977년 2월10일, 박정희 대통령이 “통일이 될 때까지 임시행정수도를 이전·건설하는 문제를 구상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임시행정수도를 건설하는 이유는 적의 지상포화 사정거리 안에 수도가 위치하고 있다는 점, 전국토의 0.63% 면적에 남한 인구의 20%(725만명)가 집중된 인구과밀이었다. 특히 1975년 월남 패망 이후 안보에 대한 우려가 심각해지면서 1976년부터 박정희 대통령이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다.
서울은 군사분계선에서 불과 50㎞ 거리 안에 있으면서 전 인구의 4분의 1, 그리고 육·해·공군 사령부 및 행정기관이 모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유사시 치명적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1970년대 중반부터 북한의 평양과 비슷하게 군사분계선에서 70㎞ 이상 140㎞ 이내의 거리에 인구 100만 명 규모, 그리고 남한의 중심부에 위치한 새로운 행정수도를 건설해야 한다는 원칙을 세우게 된다. 정부는 브라질의 브라질리아와 리우데자네이루, 미국의 워싱턴과 뉴욕 등에 조사단을 파견해 경제적 중심지와 행정적 중심지가 분리돼 있는 경우의 효율성을 타진하는 작업을 추진했다.
1976년 6월 김종필 총리가 서울대 최상철 교수와 주종원 교수에게 임시행정수도 건설 구상을 설명했고 그들에게 입지 선정 및 기초 연구를 의뢰했다. 약 한달 만에 작성한 보고서를 김종필 총리에게 전달하였고 1976년 8월 박정희 대통령은 이를 당시 김재규 건설부 장관에게 전달하고 관련 작업을 지시하였다. 임시행정수도 건설을 구상한다는 설명을 한 뒤 입지 선정 및 기초연구를 의뢰했다
그러나 박정희 대통령의 구상 발표 후 후보지로 거명된 지역에서 투기 조짐이 일고 언론도 연일 관련기사를 쏟아내자 박 대통령은 1977년 3월7일 “10년 혹은 그 이상 걸릴 것” “서두르지 않겠다”며 분위기를 식혔다. 한편으로는 차분하게 수도이전을 준비해 ‘임시행정수도 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을 마련, 6월 10일에 국회에 제출했고 7월에 통과시켰다.
1978년 초 박 대통령은 연두기자회견에서 “임시로 행정수도를 옮기기 위한 계획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고 곧바로 10개의 자문위원회가 구성되고 임시행정수도 계획을 전담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연구소에 지역개발연구소가 만들어졌다.
1979년 세계적인 오일쇼크로 행정수도 건설의 재원 확보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계획은 일정대로 추진되었으며, 10월에는 충남 연기군 장기면을 임시수도 입지로 삼아 기초적인 마스터 플랜의 설계까지 완성됐다. 무려 22권에 달하는 보고서는 극비로 분류되어 박정희 대통령에게 보고되었다.
박정희 정부가 충남 공주군 장기면에 임시행정수도를 건설하기 위해 1977년 세운 ‘장기행정수도 종합계획도’, 지금의 세종시와는 달리 중앙청뿐만 아니라 대법원, 국회까지 모두 이전계획에 포함되어 있다.
반경 10km 부지에 인구 50만명 규모 도시가 당시의 계획. 설계도면, 조감도, 5층짜리 종합청사 모형까지 완성된 상태였으나 박 대통령 서거로 유야무야됐다. 1981년 새 정부가 임시행정수도 건설계획을 백지화한다고 발표, 수도 이전은 사람들의 관심 밖으로 멀어졌다.
지난
1979년 청와대 기획단에 파견된 조원웅(왼쪽 두 번째)씨가
당시 건설부 김건호 과장 등과 임시행정수도 모델을 완성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박정희 정부가
충남 공주군 장기면에 임시행정수도를 건설하기 위해 1977년 세운 ‘장기행정수도 종합계획도’. 지금의 세종시와는 달리 중앙청뿐 아니라 청와대와 대법원, 국회까지
모두 이전한다는 구상이 도표에 나타나 있다. 아래는 산 아래 논이 펼쳐진 시골 마을이었던 장기면의 당시
모습.
'역사속에 오늘, 2월 > 2월 10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숭례문 방화 사건 (0) | 2016.12.12 |
---|---|
국토건설단 창단 (0) | 2016.12.12 |
프렌치-인디언전쟁 종결, 파리조약 체결 (0) | 2016.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