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에 오늘, 12월/12월 30일

경무대를 청와대로 개칭

산풀내음 2016. 11. 15. 19:26

1960 12 30,

경무대를 청와대로 개칭

 

1960 12 30, 윤보선 대통령이 대통령의 관저 이름을경무대(景武臺)’에서청와대(靑瓦臺)’로 바꿨다. 경무대의 기와가 푸른색이어서청와대로 개명했다지만, 진짜 이유는 경무대에서 느껴지는 부정과 부패의 이미지 때문이다.

 

경무대 터가 처음 역사에 기록된 것은 고려 숙종 때. 수도인 개경(開京), 평양에 설치된 서경(西京)과 함께 3경의 하나인 남경(南京)의 이궁(離宮)이었다. 조선조 때는 업무에 지친 왕이 잠시 쉬던 경복궁의 후원이었지만 임진왜란으로 경복궁과 함께 불에 타 방치되다가 고종이 이곳을경무대로 칭한 후부터는 주로 과거를 보는 장소로 활용됐다. 경무대의 연원은 뒤에 버티고 있는 북악산(北岳山=玄武)에 빛()이 길이 빛나길 바라는 마음에서 정해졌다는 설이 전해온다.

 

이곳에 현대식 건물이 들어선 것은 1939, 미나미 지로(南次郞) 조선총독 때였다. 3명의 총독이 이곳을 거쳐갔고, 해방 후에는 하지 미()군정사령관의 관저로 사용되다 우리 손에 넘어온 것은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1948 8월이었다. 이승만, 윤보선,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대통령 등을 거치며 최고권력의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청와대는 1990년 대통령관저와 춘추관이 신축되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기존 일제가 세운 건물이 철거된 것은 1993 10, 김영삼 대통령 때였다.

 

1956년 경무대의 모습이다. 적군의 공습을 피하기 위해 설치한 건물 위 위장망이 특이하다

철거 전 청와대의 모습

 

청와대 앞길도 정권에 따라 개방과 통제 사이를 오락가락한다. 경무대 시절부터 시민들에게 출입이 허용돼온 청와대 앞길이 봉쇄된 것은 1968 1월 무장공비가 청와대를 습격하면서부터였고, 전면통제가 시작된 것은 1974년 육영수 여사 피격사건 때부터였다. 5공 초에 잠시 개방을 시도했으나 1983 10월 아웅산 폭발사건으로 다시 유야무야 됐다. 김영삼 정부 출범에 맞춰 다시 개방된 후 2004년 현재 청와대 앞길 개방시간이 연장돼 운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