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구지환(猛狗之患)
높은 자리 어쩌면 최고의 자리에 앉아 있는 CEO 또는 리더가 그의 조직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자신의 능력과 Insight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좋은 Follower를 가지고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열린 마음으로 사람을 찾아 구하는 노력을 해도 우수한 인재가 모이지 않고 온 인재도 얼마 있지 못하고 근방 떠나버린다면 과연 그 조직은 성공할 수 있을까? 이와 관련하여 중국의 한비자는 주군이 인재를 그토록 아끼는데도 인재가 선뜻 찾아오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고사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송나라 사람 중에 술을 만들어 파는 사람이 있었다. 그 사람은 인심도 넉넉할뿐더러 친절하기까지 해서 손님이 줄을 이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손님이 점점 줄어들더니 결국에는 손님이 뚝 끊겨 결국 문을 닫게 되었다. 주인은 그 동네에서 가장 지혜로운 어른에게 그 이유를 물었다. 그 어른은 이렇게 대답하였다.
"너의 집에 있는 개가 사나워서 그런 것이다(猛狗). 너희 집에 손님이 오면 너희 집 사나운 개가 그토록 짖어대고, 심지어 어린아이가 부모의 심부름으로 술을 사러 오면 너희 집 개가 물어뜯으며 위협하니 어느 누구도 너의 집에 술 사러 가지 않는 것이 당연하지 않겠는가? 아무리 술이 맛있어도 사나운 개가 있는 한 손님이 안 드는 것은 당연한 이치니라."』
한비자는 나라에도 사나운 개가 있다고 한다. 아무리 인재를 아끼고 훌륭한 군주라 하더라도 훌륭한 인재가 찾아왔는데 주변의 대신들은 사나운 개가 되어 이리저리 그 사람을 헐뜯으며 참소하니 결국 인재들은 모두 떠나고 그 나라에는 진정한 인재가 찾아오지 않게 될 것이란 말이다.
순자(荀子)의 말 중에도 이런 유사한 말이 있다.
士有妬友則 賢交不親(사유투우칙 현교부친)
君有妬臣則 賢人不至(군유투신칙 현인불지)
선비에게 질투하는 친구가 있으면 주변에 좋은 친구가 모여들지 않고,
군주에게도 질투하는 신하가 있으면 그 주변에 뛰어난 인재들이 모여들지 않는다.
그저 자신의 자리나 보존하려고 으르렁거리는 사나운 개, 즉 다른 사람의 장점보다는 단점만을 보고 그에 대해 비판만 일삼는 사람이 있다면 그로 인해 조직에 인재가 모여드는 것이 가로 막히게 될 것이다. 조직에 필요한 말을 하는 사람이 아니라 리더가 듣기 좋은 말만 골라 하는 사람들로 가득 차게 될 것이다. 따라서 조직의 리더는 그런 사람을 가까이 두는 우를 범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좋은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士爲知己者死, 女爲悅己者容 (사위지기자사, 여위열기자용) (0) | 2018.04.10 |
---|---|
노년의 지혜 (0) | 2018.03.05 |
서산대사 해탈시, 인생 (0) | 2017.06.25 |
曲木又求曲木 (곡목우구곡목) (0) | 2017.06.09 |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 (0) | 2017.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