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에 오늘, 4월/4월 30일

사이공 함락. 월남 패망

산풀내음 2017. 3. 11. 23:13

19754 30,

사이공 함락. 월남 패망

 

베트남 전쟁은 1972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주요 이슈가 되었다. 닉슨의 국가안보 자문이었던 헨리 키신저(Henry Kissingger)는 북베트남의 레득토(Le Duc Tho, 1911-1990)와 비밀리에 협상을 진행해 8월 합의에 도달한다. 그러나 북베트남이 협정내용을 공표하자 닉슨은 북베트남이 기문전술을 사용한다고 비난하면서 협상을 중단한다. 이후 1972 12 18일부터 29일까지 하노이와 하이퐁을 무차별 폭격하였는데 이로 인해 북베트남은 경제에 큰 타격을 입고 다시 협정에 나오게 한다.

 

Le Duc Tho and Henry Kissinger. Thanks to the successful armistise agreement, the Nobel Peace Prize 1973 was awarded jointly to Henry A. Kissinger and Le Duc Tho, even though Le Duc Tho declined the Nobel Peace Prize.

 

1973 1 15일 닉슨은 북베트남에 대한 공격을 중지한다고 발표하였고, 1 27일 “종전과 베트남의 평화 복원에 대한” 파리 평화 협정을 체결하여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을 공식적으로 종결하였다. 휴전(休戰)이 성립되면서 한 때 50만에 달했던 주월(駐越) 미군을 비롯하여 한국군 등 연합군 전투부대가 베트남에서 철수했다. 미군은 자신들이 사용하던 최신예 전투기를 비롯하여 10억 달러에 달하는 각종 신형 무기를 월남군에게 넘겨주고 떠났다.

 

US Troop leaves from Vietnam


 

휴전협정에도 불구하고 1973 3월 북베트남에서는 이후의 전략을 세우는 회의를 개최하였는데 이 회의에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1975년과 1976년 사이의 건기를 최종 공격 시기로 잡았다.

 

그리고 1973 3 15일 재선에 성공한 미국 대통령 리차드 닉슨은 만일 공산주의 세력이 남베트남을 상대로 무력을 행사한다면 미국 역시 개입할 것이라고 천명하였다. 닉슨은 베트남의 상황을 살피기 위해 그레이험 마틴을 남베트남 대사로 파견하였다. 한편, 미국 국방부 장관 제임스 R. 슈레징거는 북베트남의 공격에 대항하기 위해 폭격을 재개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1973 6 4미국 상원은 이러한 개입을 금지하는 처치 어멘드먼트 을 가결하였다.

 

1974 10, 남베트남 앞바다에서 석유가 발견되어 월남은 축제 무드에 젖었고, 1975 9월에 월남의 대통령 선거가 예정되어 있었다. 각 정파들은 대선을 앞두고 온갖 흑색선전을 뿌려댔고 시민단체, 학생회, 종교단체로 위장한 공산 프락치들의 유혈 폭력민주화시위로 베트남은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었다.

 


적화통일 전인 1973년 베트남의 수도 사이공의 모습

월남은 0.5%에 지나지 않는 간첩들과 극좌 인사들의 공작에 의해 극심한 사회적 혼란을 겪었고, 이는 월남패망의 주요 요소가 되었다. 사진은 월남의 반미, 반정부 시위 모습

 

당시 베트남에는 공산당원 9500, 월맹에서 침투시킨 인민혁명당원 4만 명 등 전체 인구의 0.5% 정도의 공산분자와 베트콩들이 사회 곳곳에 침투하여 암약하고 있었다. 이들은 민족주의자, 평화주의자, 인도주의자로 위장하고 시민단체와 종교단체, 대학가, 언론계를 장악하여 조직적인 반미(反美)운동, 미군 철수, 남남(南南) 갈등, 우익 지도자 암살 등 폭력 시위를 배후조종하고 사회 분열을 조장하고 혼란을 부추겼다.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1974 1월 건기를 맞아 공세를 시작하였다. 55명의 남베트남 병사가 사망한 두 번의 무력 충돌 이후 남베트남의 티에우 대통령은 전쟁이 재발하였고, 이어서 파리 평화 협정은 효력을 상실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정전 기간 동안 남베트남 측 사상자는 2 5천여 명에 달했다.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이 공세를 시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이공에서는 데모가 여전히

Riot police block path of hundreds of anti-government demonstrators who sought to parade from suburban Saigon to the city center on Thursday, Oct. 31, 1974.

Youthful demonstrators toss sticks and rocks at South Vietnamese riot police in Saigon, Thursday, April 4, 1975 during brief confrontation.

 

한편 1974 8 9리처드 닉슨워터게이트 사건으로 하야하자 제럴드 포드가 미국의 대통령 직을 승계하였다. 이때, 의회는 남베트남에 대한 원조 금액을 1억 달러에서 7백만 달러로 삭감하였다. 1974년 미국의 보궐 선거 결과 민주당이 의석 과반수를 차지하게 되었고 정부의 전쟁 수행에 대한 반대가 더욱 강화되었다.

 

월맹이 남침 전쟁을 위한 군사 행동을 개시한 것은 1975 1 8일이다. 월맹은 반띠엔둥 (Văn Tiến Dũng) 육군참모총장을 남침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공산군 18개 사단을 분계선인 북위 17도선을 넘어 중부월남 지역으로 극비리에 이동했다. 반띠엔둥은 2 6일 호치민 루트를 타고 17도선을 넘어 중부월남의 전략적 요충지인 반 메뚤의 밀림지대로 잠입했다. 3 10일 새벽 2, 중부 고원의 밀림지대를 뚫고 나온 월맹 공산군은 평화무드에 젖어 무방비 상태에 있던 월남군을 기습 공격했다. 혼비백산한 월남군은 패주(敗走)하여 반 메뚤을 빼앗기고 병력이 뿔뿔이 흩어졌다.

 

티우 대통령은정치 지도자들은 정쟁(政爭)을 중지하고 일치단결하여 침략군을 무찌르고 자유월남을 지키자고 호소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구국(救國)평화회복 및 반()부패 운동세력의 지도자 짠후탄 신부는중부월남 고원지대에 월맹군은 없다. 그것은 월맹군의 침략이 아니라 반()민주, ()독재에 항거하는 민중봉기다. 민중봉기를 공산 침략이라고 매도하는 티우는 사퇴하라고 외쳤다. 민중들에게 존경 받는 종교 지도자이자 민주화 운동의 대부(代父)로 알려진 천주교의 유명 신부가월맹군의 침략이 아니라 민중봉기라고 외치고, 야당의 유력 대선(大選) 주자들도 이에 동조하고 나서자 전의(戰意)를 상실한 월남군은 멘붕 상태에 빠져 허둥대다 반격의 기회를 놓쳤다.

 

3 26, 전략적 요충지인 다낭이 함락되어 중부월남 전 지역에 월맹군이 노도(怒濤)처럼 밀려들었다. 월남군 장성들은 살길을 찾아 조국을 등지고 떠났고, 전투 때마다 지휘관과 장교, 사병들이 도주하는 바람에 월남군은 50%의 병력이 눈 녹듯 사라졌다.

 

티우 대통령은 쑤안록이 함락 당하자 4 21일에 사임하고 트란반후옹 장군이 대통령에 취임했다. 월맹군 부대가 사이공을 향해 파죽지세로 진격하자 트란반후옹도 사임하고 4 28일 예비역 대장인 두옹반민이 새 대통령에 취임했다. 하야한 티우 대통령, 결사항전을 외쳤던 응웬카우끼 부통령은 망명을 떠났다.

 

사이공을 포위한 월맹군의 대공세가 벌어지던 4 28, 공산군을 공격하기 위해 이륙한 F-5 전투기가 기수를 돌려 사이공 시내의 대통령궁에 폭탄 두 발을 투하하였고, 다른 두 대의 A-37 공격기는 탄손누트 공항과 탄약고를 폭격한 후 북베트남으로 가서 투항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1975 4, 전쟁중의 사이공


피난민의 행렬

Evacuees board a boat in the Saigon waterfront as communist forces from North Vietnam close in on the city.

On April 29, 1975, one day before the fall of South Vietnam, members of the U.S. Navy push a helicopter off a U.S. command ship and into the sea. The helicopter was discarded in order to make room for more evacuation flights out of Saigon.

 

4 30일 아침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군이 남베트남 수도 사이공을 3개 방면으로부터 진공해 들어가자 오전 1030분 남베트남 대통령 두옹 반 민이 무조건항복을 결정, TV를 통해 정부군 병사에게 전투 중지를 명령했다. 오전 11, 소련제 T-54 전차가 대통령궁의 철제문을 박차고 들어와 대통령궁을 점령하고 두옹반민 대통령을 체포했다. 정오가 조금 지난 12 45, 월맹군 병사와 여성 베트콩 게릴라가 국기 게양대에서 월남 국기를 끌어내리고 임시혁명정부 기를 게양했다. 사이공 거리에서는 베트콩들이 메가폰을 잡고사이공은 해방됐다고 목청껏 외쳐댔다. 이로써 30년에 걸친 베트남 전쟁의 종결을 고했다.

 

그 시각 미국으로의 망명을 거부하고 끝까지 조국을 위해 싸우던 베트남군 제2군단장 반푸 소장, 4군단장 웬꼬아남 중장, 특별부대장 반또 소장, 5사단장 레웬비 준장, 7사단장 웬반하이 준장 등 5명은 권총 자결했다.

 


곧 다가올 지옥도 모른채 사이공에 입성하는 월맹군을 환영하는 베트남 시민들

사이공에 입성한 월맹군

대통령궁을 장악한고 있는 월맹궁 탱크

대통령궁을 진입하는 월맹군 탱크

 

제럴드 포드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에 홀로 앉아 TV 화면을 통해 월남의 최후를 지켜봤다. 그는 퇴임 후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미국이 월맹에 패해 쫓겨나는 것을 지켜봐야 했던 그 날은 내 생애 가장 슬픈 날이었다고 회고했다.

 

월맹군의 기습 직전에 월남군은 정규군 58만 명, 지방군 52만 명, 전투경찰 15만 명 등 125만 대군이었다. 이들은 미군이 철수하면서 물려준 각종 항공기와 최신 무기로 무장했다. 덕분에 미군 정보기관은월맹군의 춘계공세는 월남군만으로도 충분히 막을 수 있다는 보고서를 제출할 정도로 월남군의 무장 상태는 양호했다.

반면에 월맹은 장기간의 전쟁과 미군의 북폭(北爆)으로 경제가 극도로 피폐해 있었다. 월맹은 매년 100만 톤 이상 식량이 모자라 아사자(餓死者)가 속출했다. 그리고 월맹군은 전차부대를 제외하고는 군화도 없어 타이어를 잘라 끈으로 묶은 샌들을 질질 끌고 다니며 전투를 했다.

 

그러나 이런 월남 군대는 형편없는 상황에 있었던 월맹군에게 기습 공격을 당한 지 불과 51일 만에 힘 한 번 제대로 써보지 못하고 참혹한 패배를 당했다.

 

1) 경제력, 군사력, 군사장비 면에서 월등히 우세했던 월남이 허망하게 패망한 이유는 우선 사회 각계각층에 침투한 월맹 간첩들 때문이었다. 대통령 비서실장과 법무부 장관, 모범적인 도지사로 평판이 자자했던 녹따오를 위시한 많은 정치인과 관료들이 공산 프락치였음이 드러난 것은 월남 패망 후의 일이다. 캄보디아 국경선 근처 빈룽성 내()의 지하 땅굴에 있던 혁명정부 청사에는 월남 정부의 각 부처, 월남군 총사령부에서 진행된 극비 회의 내용이 하루만 지나면 통째로 입수될 정도로 티우 정권의 핵심부에 공산 간첩들이 대대적으로 침투해 있었다.

 

월남의 대선 후보로 나와 2위의 득표율을 보일 정도로 국민들의 지지를 받아온 쭝딘주(Truong Dinh Dzu, 1917-1980s)는 월남패망이 지난 뒤 간첩으로 밝혀졌다.

월남 패망의 1등 공신이었던 야당 대선 후보 쭝딘쥬(Trương Đình Dzu) 역시 공산당에 의해 인간개조 학습소에 수감된다. 쭝딘쥬는그곳에서 하루 100g 가량의 배급을받으며 중노도에 시달리다가 1980년 중반에 사망한다. 공산주의자들의 소모품으로 전락해 배신당한 통일운동가의 비참한 말로라고 하지않을 수 없다.

 

2) 시민, 종교단체 또한 좌익이 장악하고 있었다. 당시 베트남에는 천주교의 짠후탄 신부, 불교계의 뚝드리꽝 스님 등이 모여서 「救國 평화 회복 및 反부패 운동세력」이라 는 단체를 결성해 활동했다. 이 산하에 사 이공대학 총학생회, 시민단체들이 연합하여 일종의 시민연대를 구성하고 反부패 운동 에 나섰다. 문제는 이 순수한 反부패 운동 조직에 공산 프락치들이 대거 침투하여 反정부 세력으로 변질됐다는 점이다.

 

3) 더욱 심각한 문제는 군내 부정부패였다. 당 시 월남 정규군은 58만명이었는데, 이 중 10만명이 뇌물을 주고 비공식 장기휴가를 받아 대학에 다니거나 취업, 심지어 장군들 이 운영하는 사기업에 파견돼 무보수로 일 하는 사례마저 있었다. 이처럼 이름만 있고 실체는 없는 군인들을 「유령군인」, 「꽃 군인」이라 불렀다.

 

지도층 아들들은 입대 영장이 나오면 일단 입대한 다음 뇌물을 써서 선진국으로 유학을 보내는 일들이 비일비재했다. 게다가 월남 지배층은 사리사욕과 부정축재, 황금 만능주의에 빠져 천민자본주의의 극단을 보였다. 반면 국가에 대한 의무는 등한시함으로써 체제 파괴세력들에게 공격의 빌미를 제공했다.

 

후방이 부패와 혼란에 빠지고, 사회에 정의감이 상실되자 일선의 군인들은 『저따위 썩은 정권과 나라를 위해 내가 목숨을 바쳐 야 하는가』 하며 戰意를 상실했다. 이것이 월맹보다 월등한 경제력과 막강한 화력을 가진 월남 군대가 허수아비처럼 붕괴한 가 장 큰 원인이다.

 

4) 1975 9월에 있을 대통령 선거를 앞둔 베트남에서는 극심한 혼란상을 연출하고 있었다. 거대 여당이었던 대월당(大越黨)이 분열하여 각개 약진을 거듭했다. 오늘날 어떤 정당에서 공천을 못 받았다 해서 뛰쳐나가 자신이 몸 담았던 당의 지도자를 공격하는 모습과 같았다. 그 무렵 반공을 외치고, 조국을 위기에서 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우익 인사들은 다음날이면 시체로 발견됐다. 1973년까지 년 평균 840명이 암살을 당할 정도였다. 티우 대통령이 수상으로 지명하려 했던 유명한 반공지도자 웬반흥, 사이공대학의 우익 학 생지도자, 반공을 주장하는 언론인들이 암살되면서 지식인과 중산층, 언론은 침묵을 선택했다.

 

월남 패망 후 수도 사이공은 호치민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공산군이 사이공에 입성하자 친북 좌파 시민들이 월맹기를 들고 나와 열렬하게 환영했다. 그러나 그들이 바라던 공산 통일이 이뤄지자마자 반체제 운동을 벌였던 종교인, 학생 등 속칭 민주 인사들 거의 대부분이 월맹군에게 체포되었다.

 

그들은자본주의 사회에서 반()정부 활동을 하던 인간들은 사회주의 사회에서도 똑 같은 짓을 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로 즉결 처형되거나 참혹한 감옥살이를 해야 했다. 적화통일 된 후 거의 900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살해 당했다.

 

인간개조 학습소의 모습()과 처형 또는 처벌 받는 사람들()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가 도안 반 토아이의 경우이다. 월남패망 당시 대표적인 극렬 운동권 대학생이었던 '도안 반 토아이'(Doan van Toai) 는 티우 정권당시 월남 최고의 명문대학인 사이공 대학의 약대 학생회장이었다. 그는 반미자주를 선동하며 1969년 당시 운동권 학생들을 이끌고 캄보디아 대사관과 국회의사당을 점거하고 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미국의 진보세력과 언론을 이용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떨치며 미국의 하버드, 버클리, 스탠포드대학의 반전운동가들의 초청을 받고 미국과 파리 등에 초청을 받는 등 영웅대접을 받아왔다.

 

이랬던 그가 자유월남이 패망하여 공산화가 되자 아무런 이유없이 체포되어 수용소에 끌려가게 됐다. 당시 월맹은 "민주주의를 배신하는 자는 공산주의도 배신한다"며 월남내부에서 반정부, 공산주의 활동을 하던 각계 인사들을 대거 숙청했기 때문이다.

30개월간의 수용소 생활을 마치고 출소한 '도안 반 토아이'는 파리로 출국해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들이 월맹 공산주의에 완전히 속았고, 수 많은 인사들이 수용소에서 죽어가고 있는 사실을 폭로했지만 이미 자유월남은 지구상에서 사라진 후였다.

 

도안 반 토아이(Doan van Toai)

 

또한 그들이 규정한 반동적인 정치인, 군인, 관료, 교사 등 이른바 '특권계층'들은 수용소에 들어가 사상개조를 받게 되거나 평생 노동만 하다가 죽게 된다. 그 과정에서 심각한 인권유린이 발생하였고 그 결과 1973부터 1988 사이에 총 약 100만 명이 통일조국을 버리고 자유를 위해 해로(海路)를 통한 탈출을 시도했다. 보트피플은 1973부터 속출되었으며, 1975에서 1978 사이에 정점을 찍다가 그 이후부터는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했다. 1988 이후부터는 베트남의 특유 경제정책인 도이 머이 정책에 의해 베트남 경제가 안정화되었고 보트피플은 크게 발생되지는 않았다.

 

이들은 싱가포르나 당시 영국령이었던 홍콩으로 탈출한 뒤 미국이나 오스트레일리아로 망명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들이 탄 보트는 제대로 된 배가 아니었고 동력도 없었기에, 운좋게 자유 진영에 도착 후 망명한 사람들도 있었지만 상당수는 풍랑에 휩쓸리거나 식량과 식수가 떨어지거나 등등 다양한 이유로 사망하거나 실종되었다. 특히, 부유층의 경우에는 위에 나와있는 대로 홍콩에 정착하여 서방 세계로 탈출할 수 있었지만 빈곤층은 비행기표나 배편을 구할 길이 없었기에 아예 남베트남에서 오스트레일리아까지 2000km가 넘는 항로를 떠돌았다.

 



Vietnamese boat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