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에 오늘, 8월/8월 10일

경기도 광주대단지(現 성남시) 사건

산풀내음 2017. 7. 5. 20:36

1971 8 10,

경기도 광주대단지(現 성남시) 사건

 

급속한 공업·산업·도시화로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로 노동자들이 유입되면서 1960년대 말부터 거대한 도시빈민 주거지가 생겨났다. 이들은 서울의 청계천변과 창신동, 용두동, 봉천동 등에 무허가 판잣집을 짓고 생활하면서 여러 도시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박정희 대통령은 용산역 부근을 정리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당시 불도저 시장 김현옥이 이를 충실히 이행했다. 김 시장은 빈민촌 정리를 위해서 여러 가지 정책을 시행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와우아파트라는 희대의 업적(?)을 남긴 시민 아파트 건설과 서울 빈민 이주 계획이었다.

 

1966 4 4일 기자회견 중인 김현옥 시장. 1966년부터 만 4년 재임한 불도저 시장 김현옥은 돌격 건설의 기치 아래 서울의 모습을 탈바꿈시켰다. 강변로, 청계고가 등 수많은 도로, 지하도와 육교를 건설했고 세운상가를 만들었다. 또한 땅콩 밭 여의도를 개발하고 곳곳에 시민아파트를 지었다. 그 과정에서 빈민 주거지를 대규모로 철거, 이전 하기도 했다. 1970년 와우아파트의 붕괴로 그는 물러났지만, 이때 시작된 개발열풍 1980년대까지 지속된다.

 

 

1967 7 18일 김 시장은 23만여 동의 무허가 주택을 철거하고, 127만 명을 서울시 밖으로 이전시키며, 광주군에 50만 명이 거주할 수 있는 10 5천여 가구를 건설하는 원대한 계획을 수립한다. 그리고 1969 9 1일부터 20평의 땅을 분양해 이곳에 철거민들을 강제 이주시켰다.

 

수 많은 빈민들이 내 집 마련의 꿈을 안고 광주로 갔으나 광주에서 그들을 기다리고 있던 것은 아무것도 없는 허허벌판이었다. 그 곳에는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물도 없고, 화장실도 없고, 상업시설이라고 부를만한 것도 존재하지 않았다. 15만 명에서 20만 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허허벌판에서 천막을 치고 살게 된 것이다. 당시 그곳에 거주했던 전성천 목사의 말에 의하면 굶어 죽은 사람 시체 치우는 일이 가장 큰 일이었다고 했으니 그 참상이 눈 앞에 선할 지경이다.

 

신천지를 찾아서

그러나 현실은

 

그러나 이곳에 개발 논의가 한참 진행되면서 입주권 즉 딱지가 전매되고, 이 딱지를 얻기 위해 각지에서 단대천 주변에 천막을 치는 등 부동산 투기가 만연했다. 마침 1971 4 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부동산 개발붐이 확대되면서 사람들은 이 딱지를 사기 위해 아귀다툼을 벌였다.

 

광주대단지에 개발 붐이 일면서 복덕방이 하나씩 들어섰고 결국 복덕방 동네가 되었다. (1971 2 19일 사진)

 

그 동안 수수방관하던 정부는 입주권 위조, 철거비리 등이 만연하자 7 14일 갑자기 정부와 서울시는 입주권의 거래를 금지한다. 그 후 전매계약자들은 매수계약을 체결해야 한다며 8천원에서 1 2천원을 일시불로 낼 것을 요구한다. 이는 원래 계약하기로 했던 금액의 40배에서 800배에 해당하는 금액이었다. 그 뿐만 아니라 토지 취득세로 1만원, 있지도 않은 주택에 대한 등기세로 1만원을 더 뜯어갔고, 보름 안에 건물을 올리지 않는다면 불하를 취소하기로 한다는 공고를 낸다.

 

입주한 주민들은 분노했다. 게다가 정부는 이곳에 48개 공장을 입주시켜 자족도시를 만들겠다고 했지만, 말뿐이었다. 1971 4월 대통령 선거가 끝나자 공장 건설도 시들해져 버렸다. 몇몇 공장이 입주했지만 수십만 명의 일자리를 제공하지 못했다.

 

이에 입주민들은 1971 7 17 '광주대단지 토지불하가격 시정대책위원회'를 조직하였고, 위원회를 중심으로 한 수 차례의 진정 및 산발 시위에도 당국의 대책이 마련되지 않자, 8 10일 최소 3만 최대 6만에 이르는 인파가 분양가격 인하와 세금면제를 요구하며 6시간 동안 광주대단지 전역을 장악했다.

 

“낮 1210분께 난동자 30여명이 성남지서에 몰려가 몽둥이로 유리창을 부순 후 지서 안에 있던 경찰차를 길로 끌어내 불태웠다. 오후 1시께 10, 20대 청소년 50여명이 시영버스를 뺏어 타고 지붕에 올라가 탄리천길을 달려 ‘서울로 가자’며 수진리고개를 넘으려다 되돌아와 거리를 돌았다… 오후 3시반쯤 경찰이 최루탄을 쏘아 난동자들을 길에서 언덕 위로 몰자 500여명으로 줄어든 난동자들은 언덕 위에서 돌을 던지고 욕지거리를 퍼부으며 5시반까지 대치했다.…”(경향신문 1971.8.11)

 

오후 5시경 양택식 서울시장이 주민들의 요구를 무조건 수락하겠다고 약속해 일단락됐다. 이 사건은 해방 이후 최초의 대규모 도시 빈민 투쟁사건으로 주민과 경찰 100여명이 부상당했고 23명이 구속됐다. 그리고 이런 조건 속에서 탄생한 도시가 바로 성남시였다.

 

이후 박정희 대통령은 광주대단지 사건을 도시폭동으로 간주하고 "主動者를 嚴斷에 處하라(1971 8 11일자 보고서 (보고번호 제71-458, 보고관 정종택))"는 메모를 남겼다. 대중 봉기의 위험성을 인지한 대통령 및 정부는 민심 수습과 함께 난동자에 대한 조치를 중요한 문제로 제기했다.

 





사건의 주동자 등 22명이 체포되어 형사 처분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