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5년 5월 23일,
‘진통제 마약’ 메사돈 만든 제약사 급습
1960년대 중반, 농어촌과 산간 벽지 등에서 갑자기 마약 중독자가 급증, 정부가 조사에 나섰으나 진통 주사제가 범람하는 것 말고는 딱히 원인을 찾을 수 없었다. 주사제를 수 차례 검사했지만 그때마다 알 수 없는 ‘제3의 물질’ 만 검출됐다.
배·머리가 아플 때, 나무하러 가거나 바다에 들어갈 때 한 대씩 맞은 진통제로 사람들의 몸은 서서히 망가져 갔다. 정부는 1965년 3월 현재 중독자가 1만5000명에서 2만 명이라고 밝혔지만 전문가들은 최소 10만 명 이상으로 추산했다.
보건당국은 1965년 5월에서야 비로소 그 물질이 메사돈(Methadone)임을 밝혀내고 제조업체 추적에 나섰다. 메사돈은 아편보다 진통작용이 2배 이상 강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흰가루 마약이었다. 메사돈은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에서 모르핀 대용으로 개발한 진통제로 1946년부터 사용되었으며 아미돈, 돌로핀, 메사돈이란 상품명으로 유통되었다. 아편제에 의한 마약중독치료에도 사용되어 왔으나 내성이나 의존성, 금단증상을 일으키고 과량복용시 사망까지도 초래하는 글자 그대로의 마약 성분이었다.
1965년 5월 23일 청주시에 있는 국도제약에서 진통제를 제조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단속반이 현장을 급습, 메사돈을 주성분으로 한 진통 주사액 20만 통을 압수하고 사장을 마약법 위반 혐의로 긴급 구속했다.
조사과정에서 마약제조범은 서울대 약대 출신의 임국선씨임이 밝혀졌고, 영남, 유니언, 백십자 등 10여개 회사가 비슷한 짓을 하고 있었음이 드러났다. 충북 약무계장 이재욱 등 보사부 관리와 공화당 소속 국회의원 신관우가 수뢰혐의로 입건됐다. 마약 성분의 진통제를 만들어 돈을 벌고 그 돈은 고위 공무원과 국회의원들과 함께 나누어 뒤탈을 막는 극악하기 이를데없는 장사꾼들의 행각이었다. 그들 때문에 마약류와는 일 점 관련이 없는 선량한 사람들이 마약 중독자가 되었고, 심대한 고통을 겪어야 했다.
메사돈 파동은 곧바로 검찰, 경찰, 보사부, 세관 등 합동수사로 이어지면서 고구마 줄기 엮듯이 감춰진 사실이 드러나면서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불러 왔다. 밀수조직, 공무원, 유통업자 등 66명이 쇠고랑을 찼고 이 파동 속에서 굵직한 제약회사 20곳이 문을 닫아야 했다. 보사부장관부터 약무국장까지 보건관리 7명도 옷을 벗어야 했다.
박정희 대통령이 '메사돈 사건을 철저히 조사하라'고 특별지시를 내릴 정도였다. 박 통은 최근 물의를 일으킨 합성마약 메사돈 사건을 철저히 조사토록 내각에 지시했다. 그리고 박 대통령은 온 국민이 국산약품을 마음 놓고 사먹을 수 있도록 검사제도를 강화할 것까지도 아울러 지시했다.'
이 사건으로 가장 빛을 발한 것은 다름아닌 국립과학수사연구소였다. 1955년 창립되었지만 시체 감식 업무 정도에 그치고 있던 중 보건사회부가 의뢰한 진통제 중 제 3의 물질이 메사돈임을 밝혀내면서 그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다.
'역사속에 오늘, 5월 > 5월 23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81세 노령 산악인, 국립공원 요세미티 엘캐피탄봉 (2307m)에 올라 사상 최고령 등반기록 수립 (0) | 2017.04.13 |
---|---|
북한 공군 소속 이철수 대위, 미그19기 몰고 귀순 (0) | 2017.04.13 |
중국-티베트, ‘17조 협약’ 조인 (0) | 2017.04.11 |
서독 연방공화국 수립 (0) | 2017.04.11 |
미국 은행강도 보니와 클라이드 사살 (0) | 2017.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