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낙동강 방어선, 다부동 전투 1950년 8월 1일, 낙동강 방어선, 다부동 전투 1950년 6월25일, 전쟁을 일으킨 북한군은 파죽지세로 몰아쳤다. 국군을 연이어 물리치고 전쟁 발발 3일만인 6월 28일에 서울을 점령했다. 이후 7월 5일에는 오산전투에서 미군을 격파하고, 7월 24일에는 대전을, 7월 말 목포와 진주를 함락시켰다. 결.. 역사속에 오늘, 8월/8월 1일 2017.06.28
리지웨이, 원산만 덴마크 함상에서의 휴전회담 제의 1951년 6월 30일, 리지웨이, 원산만 덴마크 함상에서의 휴전회담 제의 1년 이상 계속되어 오던 한국전쟁이 1951년 6월 27일 마리크 주 유엔 소련대사의 정전회담 제의로 휴정협상에 대한 논의가 공식화됐다. 한국전에 참전한 16개국도 소련의 제의에 동의하자 이틀 뒤인 6월 29일 트루먼 미국 대.. 역사속에 오늘, 6월/6월 30일 2017.05.23
한국전쟁(6.25) 발발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6.25) 발발 한국전쟁의 발발에서 휴전협정까지의 내용을 2회에 나누어 동영상으로 만들었습니다. 많이 시청해 주십시요 https://www.youtube.com/watch?v=0P51ff7_UGQ&t=121s https://www.youtube.com/watch?v=_rrYDwGrNVs 해방정국에서 정치적기반이 확고하지 못했던 김일성은 이승만의 북진통일의지나 북한내부의 호전적 분위기 모두 부담스러웠을 것이다. 자칫 미적거리면 내부의 정치적 도전에 직면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런 김일성에게 전쟁을 시작할 좋은 기회가 찾아왔다. 미군철수가 논의되기 시작한 것이다. 미국무성은 극동국의 윌튼 버트워드를 통해서 1949년 중국에서 공산혁명이 성공했으므로 한국은 새로운 위험에 처하.. 역사속에 오늘, 6월/6월 25일 2017.05.18
더글라스 맥아더 원수 사망 1964년 4월 5일, 더글라스 맥아더 원수 사망 우리에게 참 고마운 맥아더 장군이 8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1, 2처 세계대전의 그리고 한국전쟁의 전쟁영웅이었지만 트루먼과의 갈등으로 예편하였고, 1951년 4월19일 상하 양원합동회의에서의 연설에서 남긴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 역사속에 오늘, 4월/4월 5일 2017.02.13
국회, 국민방위군의혹사건 폭로 1951년 3월 29일, 국회, 국민방위군의혹사건 폭로 전쟁이 한창인 가운데 임시수도 부산에서 열린 국회에서 1천여 명에 달하는 희생자를 낸 국민방위군 의혹사건을 조사하기 위한 진상조사단 구성안이 1951년 3월 29일 통과되었다. 국민방위군은 6.25전쟁 중 중국의 개입으로 상황이 악화되자 .. 역사속에 오늘, 3월/3월 29일 2017.01.27
맥아더, 38선 이북 진격 명령 1951년 3월 24일, 맥아더, 38선 이북 진격 명령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3월 24일 유엔군 최고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는 38선 이북으로의 진격을 명령했다. 중국에 휴전 제의를 고려하고 있던 대통령 트루먼의 정책 방향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결정이었다. 공산주의 중국과 대대적인 한판을.. 역사속에 오늘, 3월/3월 24일 2017.01.24
트루먼 전 미국 대통령 사망 1972년 12월 26일, 트루먼 전 미국 대통령 사망 해리 S. 트루먼(Harry S. Truman, 1884년 5월 8일 ~ 1972년 12월 26일)은 미국의 제34대 부통령(1945년), 33번째 대통령(1945년 4월 12일~1953년)이었다. 이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부통령이 된 지 불과 82일 만에 대통령직을 승계하였다.. 역사속에 오늘, 12월/12월 26일 2016.11.13
인천상륙작전 1950년 9월 15일, 유엔군, 인천상륙작전 개시 맥아더는 1950년 6월 29일, 전쟁 발발 4일 뒤 한강방어선을 시찰할 무렵 미 지상군은 수원 부근에 투입하여 북한군의 남진을 저지하면서 미 제1기병사단을 인천으로 상륙작전을 실시하여 북한군을 포위 섬멸하려는 블루하트(Blue heart) 계획을 수립.. 역사속에 오늘, 9월/9월 15일 2016.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