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사유 강화조약(Treaty of Versailles) 조인 1919년 6월 28일, 베르사유 강화조약(Treaty of Versailles) 조인 제1차대전 발발의 원인이었던 사라예보 총격사건이 있은지 만 5년째가 되는 1919년 6월 28일 오후 3시12분, 베르사유궁에서 독일대표단이 강화조약에 서명했다. 파리 평화회의의 결과로 31개 연합국과 독일이 맺은 강화조약으로 전체 4.. 역사속에 오늘, 6월/6월 28일 2017.05.21
중국 5.4 운동 (May Fourth Movement) 1919년 5월 4일, 중국 5.4 운동 (May Fourth Movement) 1840년 아편전쟁 이래로 중국 국민들은 제국주의 침략과 봉건주의 압박에 반대하여 70여 년 동안 투쟁을 전개하였으나, 태평천국봉기, 의화단운동, 신해혁명 등을 비롯한 그들의 민족운동은 모두 실패로 끝났다. 이러한 일련의 역사적 사실은 반.. 역사속에 오늘, 5월/5월 4일 2017.03.17
한성임시정부 수립 1919년 4월 23일, 한성임시정부 수립 1919년 우리나라는 3ㆍ1운동과 만세시위로 민족의 단결력과 독립정신이 어느 해보다 들끓었다. 그러나 이러한 우리의 독립의지와 달리, 하나만 수립되어야 할 임시정부가 일제의 감시와 탄압하에 연락 불충분으로 상해, 노령, 서울 등에 수립되는 등 난립.. 역사속에 오늘, 4월/4월 23일 2017.03.05
제암리 학살사건 1919년 4월 15일, 제암리 학살사건 1919년 3월 31일 발안 장날에 경기도 화성시(당시 수원군) 향남면 제암리에서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만세 운동은 팔탄면 가재리의 유학자 이정근, 장안면 수촌리의 천도교 지도자 백낙렬, 향남면 제암리의 안정옥(천도교), 고주리의 천도교 지도자 김흥.. 역사속에 오늘, 4월/4월 15일 2017.03.01
독립지사 29명 국호 ‘대한민국’ 표결로 제정 1919년 4월 11일, 독립지사 29명 국호 ‘대한민국’ 표결로 제정 1919년 4월 10일 밤, 중국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외국인 거주지) 진선푸루(金神父路)에 있는 허름한 셋집에 독립지사 29명이 모여들었다. 최초의 민의기관인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 설립이 결정된 역사적인 자리, 국호(國號)도 함.. 역사속에 오늘, 4월/4월 11일 2017.02.22
강계학살사건 1919년 4월 8일, 강계학살사건 강계군 읍내의 3·1운동은 중학교 교사들인 김경하(金京河)와 정준, 교회 장로인 한봉민(韓奉珉) 등이 주동이 되어 일어났다. 이들은 3월 20일경부터 20여 명의 동지를 규합하고 2,000여 장의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제작하는 등 치밀한 준비를 하여 장날인 4월 8.. 역사속에 오늘, 4월/4월 8일 2017.02.18
유관순, 아우내 장터 만세운동에 참가했다 투옥 1919년 4월 1일, 유관순, 아우내 장터 만세운동에 참가했다 투옥 가족을 따라 지령리교회를 다니던 유관순이 13세 때 서울 이화학당의 보통과 2학년에 편입한 것은 여성 선교사인 샤프 앨리스(한국명 사애리시·史愛理施)의 추천에 의해서였다. 충청도 지역에서 선교와 교육 사업에 열성을 .. 역사속에 오늘, 4월/4월 1일 2017.01.28
코민테른(제3인터내셔널) 창립대회 1919년 3월 2일, 코민테른(제3인터내셔널) 창립대회 1919년 3월 2일부터 6일까지 5일 동안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30여 개국 51명의 대표가 모여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약칭 코민테른 혹은 제3인터내셔널)의 창립대회를 개최했다. 코민테른은 Communist International의 합성어로 제3인터내셔널 또는 국.. 역사속에 오늘, 3월/3월 2일 2016.12.28
3.1 만세운동 1919년 3월 1일, 3.1 만세운동 3·1 운동 또는 3·1 만세 운동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다. 기미독립운동 또는 3·1 인민봉기라고도 부른다. 대한제국 고종이 독살되었다는 고종 독살설이 소문.. 역사속에 오늘, 3월/3월 1일 2016.12.27
파리강화회의(Paris Peace Conference) 개최 1919년 1월 18일, 파리강화회의(Paris Peace Conference) 개최 1914년 6월 28일 사라예보에서 울린 총성이 계기가 되어 시작된 제1차 세계대전은 1500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의 생명을 앗아간 채 1918년 11월 11일 정정협정이 체결되면서 끝이 났다. 이후 1차 세계대전의 결말을 짓기 위한 파리강화회의가 1.. 역사속에 오늘, 1월/1월 18일 2016.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