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 2000년 12월 10일, 김대중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 김대중 대통령이 2000년 12월 10일 한국·동아시아의 민주주의와 인권, 한반도의 평화와 화해를 증진시킨 공로로, 노벨평화상 제정 100년째이자 뉴 밀레니엄 첫해인 2000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대통령은 이날 오후 9시(한국시각) 노르웨이 .. 역사속에 오늘, 12월/12월 10일 2016.11.02
넬슨 만델라 노벨평화상 수상 1993년 12월 10일, 넬슨 만델라 노벨평화상 수상 1993년 노벨평화상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종차별정책을 철폐한 공로로 흑인 민권지도자 넬슨 만델라(Nelson Rolihlahla Mandela, 1918년 7월 18일 ~ 2013년 12월 5일)와 백인정부 대통령 프레데릭 데 클레르크(Frederik Willem de Klerk, 1936년 3월 18일 ~)가 공동 .. 역사속에 오늘, 12월/12월 10일 2016.11.02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 1990년 12월 10일,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 전세계 언론들이 예상했던 그대로 1990년 노벨평화상은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Mikhail Sergeyevich Gorbachev, 1931 - )에게 돌아갔다. 노르웨이의 노벨평화상 위원회가 밝힌 수상자 선정 이유도 짤막했다. 오늘날 국제 사회에서 일어나고 .. 역사속에 오늘, 12월/12월 10일 2016.11.02
테레사 수녀 노벨평화상 수상 1979년 12월 10일, 테레사 수녀 노벨평화상 수상 ‘빈자들의 성자’ 마더 테레사 수녀가 1979년 12월 10일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테레사는 일체의 축하행사를 거부하며 상금 19만2천달러 전부를 나환자 구호소 건립기금으로 내놓았다. 상을 받을 때도 테레사의 이름이 아닌 ‘사랑받지 못하.. 역사속에 오늘, 12월/12월 10일 2016.11.02
제3회 유엔총회에서 세계인권선언 채택 1948년 12월 10일, 제3회 유엔총회에서 세계인권선언 채택 1948년 12월 10일 제3차 유엔총회서 세계인권선언(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이 채택됐다. 당시 가입국 58개국 중 50개국이 찬성하여 채택되었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전야의 인권 무시, 인권의 존중과 평화 확보 사이의 깊은 관계를 .. 역사속에 오늘, 12월/12월 10일 2016.11.02
영국왕 에드워드 8세, 심슨 부인과의 사랑 위해 퇴위 1936년 12월 10일, 영국왕 에드워드 8세, 심슨 부인과의 사랑 위해 퇴위 1936년 12월 10일 대영제국의 국왕 에드워드 8세(Edward Albert Christian George Andrew Patrick David, 1894.4.23-1972.5.28)가 퇴위했다. 월리스 위필드 심슨(Wallis Warfield Simpson)이라는 미국 패션 디자이너와 결혼하기 위해서였다. 두 번 이혼.. 역사속에 오늘, 12월/12월 10일 2016.11.02
제1회 노벨상 시상식 1901년 12월 10일, 제1회 노벨상 시상식 Alfred Nobel, The founder of the Nobel Prize 노벨상의 역사는 20세기 역사의 축소판이다. 수상자들의 면면을 보면 20세기 세계 정치와 과학과 문학에서 빠질 수 없는 이름들이 망라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벨상의 첫 걸음마는 지금처럼 화려하지도 명예롭지.. 역사속에 오늘, 12월/12월 10일 2016.11.02
바웬사, 폴란드 대통령에 당선 1990년 12월 9일, 바웬사, 폴란드 대통령에 당선 1990년 12월 9일. 레흐 바웬사(Lech Walesa, 1943 ~)가 폴란드 대통령선거에 출마해 당선됐다. 바웬사는 폴란드의 자유노조 지도자로 1967년 그다니스크의 레닌조선소에 취직, 노동운동에 참여하게 됐다. 1983년 노동자로는 처음으로 노벨평화상을 수상.. 역사속에 오늘, 12월/12월 9일 2016.11.01
소련 사하로프 박사 18일 만에 단식 중단 1981년 12월 9일, 소련 사하로프 박사 18일 만에 단식 중단 소련 반체제 물리학자 안드레이 사하로프(Andrei Dmitrievich Sakharov, 1921년 5월 21일 ~ 1989년 12월 14일) 박사가 1981년 12월9일 유배지 고리키에서 벌이던 18일간의 단식투쟁을 중단했다. 사하로프는 소련 정부가 며느리의 미국행을 허가하지 .. 역사속에 오늘, 12월/12월 9일 2016.11.01
이승복군 무장공비에 의해 피살 1968년 12월 9일, 이승복군 무장공비에 의해 피살 1968년 12월 9일, 울진 삼척지구에 투입된 무장공비에 의해 9살 난 이승복군이 “공산당이 싫어요”를 외치다 입이 찢겨진 채 무참히 살해됐다. 이 사건은 당시 조선일보 기자가 이튿날 10일, 이를 특종 보도함으로써 이슈화됐다. 무참하게 살.. 역사속에 오늘, 12월/12월 9일 2016.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