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투부대 월남파병안 국회 통과 1965년 8월 13일, 전투부대 월남파병안 국회 통과 1964년 8월 2일 이른바 월맹 통킹만 사건이 발생하자 미국은 이를 이유로 8월 7일 월맹에 보복을 선언한 통킹만 결의를 의회에서 의결하였으며, 1965년 2월부터 본격적으로 군사개입을 강화하여 베트남 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주지하는 바와 같.. 역사속에 오늘, 8월/8월 13일 2017.07.08
美 와츠 흑인폭동 1965년 8월 11일, 美 와츠 흑인폭동 1965년 8월 11일 미국 LA 인근 흑인 거주지 와츠(Watts)에서 폭동이 일어나 6일 동안 34명이 숨졌고 1,032명이 다쳤다. 주 방위군과 경찰에 체포된 흑인은 3,438명이었다. 인종차별을 금한 미국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인권법인 신(新)공민법(1964년 7월)과 흑인투표법.. 역사속에 오늘, 8월/8월 11일 2017.07.06
프랑스-이탈리아 간 몽블랑터널 개통 1965년 7월 16일, 프랑스-이탈리아 간 몽블랑터널 개통 유럽 알프스산맥의 최고봉인 몽블랑(해발 4807m). 1965년 7월 16일, 몽블랑을 관통해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잇는 2차선 몽블랑터널(Mont Blanc Tunnel)이 개통됐다. 개통 당시 이 터널은 유럽뿐 아니라 전세계의 화젯거리였다. 우선, 터널 길이. 11... 역사속에 오늘, 7월/7월 16일 2017.06.10
한일기본조약 조인(한일국교 정상화) 1965년 6월 22일, 한일기본조약 조인(한일국교 정상화) 한국과 일본간의 국교를 정상화하는 ‘한일기본조약’과 4개 부속협정이 1965년 6월 22일 일본 수상관저에서 조인됐다. 조약은 이동원 외무장관, 김동조 수석대표와 시나 일본 외무장관, 일본 수석대표가 서명-조인했다. 일본자본을 끌.. 역사속에 오늘, 6월/6월 22일 2017.05.13
메사돈 사건, 정치 쟁점화 1965년 6월 12일, 메사돈 사건, 정치 쟁점화 전국적으로 갑자기 마약 중독 증상을 보이는 이들이 급증했다. 정부가 조사에 나섰으나 합법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진통 주사제가 널리 퍼져 있다는 사실 외엔 밝혀내지 못했다. 그 성분 속에 정체를 알 수 없는 제 3의 물질이 들어 있다는 것은 확.. 역사속에 오늘, 6월/6월 12일 2017.05.05
‘진통제 마약’ 메사돈 만든 제약사 급습 1965년 5월 23일, ‘진통제 마약’ 메사돈 만든 제약사 급습 1960년대 중반, 농어촌과 산간 벽지 등에서 갑자기 마약 중독자가 급증, 정부가 조사에 나섰으나 진통 주사제가 범람하는 것 말고는 딱히 원인을 찾을 수 없었다. 주사제를 수 차례 검사했지만 그때마다 알 수 없는 ‘제3의 물질’ .. 역사속에 오늘, 5월/5월 23일 2017.04.13
소련 우주비행사 레오노프 인류최초로 우주유영(Space Walk)에 성공 1965년 3월 18일, 소련 우주비행사 레오노프 인류최초로 우주유영(Space Walk)에 성공 소련이 1965년 3월 18일 보스호트 2호를 발사했다. 우주비행사 알렉세이 레오노프(Aleksey Arkhipovich Leonov, 1934 - )는 우주복을 입고 궤도비행 중이던 우주선을 떠나 우주공간에서 12분간 유영함으로써 세계 최초의 .. 역사속에 오늘, 3월/3월 18일 2017.01.15
말콤 엑스(Malcolm X) 피살 1965년 2월 21일, 말콤 엑스(Malcolm X) 피살 전투적인 흑인 지도자 말콤 엑스가 1965년 2월 21일 뉴욕 할렘에서 ‘아프로·아메리카통일기구(OAAU)’ 집회도중 피살됐다. 일요일 정례집회에 모인 약 5백명의 흑인청중을 향해 “여러분에게 평화를!”하는 순간 돌연 3명의 흑인남자가 연단으로 돌.. 역사속에 오늘, 2월/2월 21일 2016.12.22
국회, 월남파병안 가결 1965년 1월 26일, 국회, 월남파병안 가결 베트남에 전투병력을 파견하는 2차 파병안이 1965년 1월 26일 국회에서 가결됐다. 파병 병력은 2,000여 명으로 공병, 수송 및 자체방위부대 등이었고, 파병안은 재석 125명 중 찬성 106표, 반대 11표, 기권 8표로 통과됐다. 이날 국군 월남파병안이 통과 됨으.. 역사속에 오늘, 1월/1월 26일 2016.12.02
한일수교 협상시작 14년 만에 비준서 교환 1965년 12월 18일, 한일수교 협상시작 14년 만에 비준서 교환 1965년 12월 18일 오전10시36분, 이동원 외무장관과 시나 에쓰사부로(椎名悅三郞) 일본 외무장관이 서울 중앙청에서 한일기본조약과 협정비준서를 교환함으로써 한일(韓日)간의 국교정상화를 위한 험난했던 여정이 대단원의 막을 내.. 역사속에 오늘, 12월/12월 18일 2016.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