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보부, 인혁당사건 발표 1964년 8월 14일, 중앙정보부, 인혁당사건 발표 1964년은 한일회담 반대투쟁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었고 이는 점차 박정희 군사정권의 퇴진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위기를 느낀 정권이 6월3일 계엄령을 선포한 데 이어 8월14일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은 '북한 노동당의 지령을 받고 국가 변.. 역사속에 오늘, 8월/8월 14일 2017.07.08
통킹만 사건(Gulf of Tonkin Incident) 1964년 8월 2일, 통킹만 사건(Gulf of Tonkin Incident) 1954년 프랑스군이 디엔비엔푸 전투 참패 뒤 베트남에서 철수하자 고 딘 디엠 괴뢰정권을 지원하면서 프랑스 자리를 대신 차지했다. 고 딘 디엠(또는 옹오 딘 지엠, Ngo Dinh Diem, 1901-1963)은 독실한 가톨릭 신자이자 철저한 반공주의자였다. 그는 .. 역사속에 오늘, 8월/8월 2일 2017.06.28
6.3항쟁(학생시위 격화-계엄령 선포) 1964년 6월 3일, 6.3항쟁(학생시위 격화-계엄령 선포) 1950년 6월 25일 대한민국에서 남북간의 전쟁이 발발한다. 미국은 한국의 배후기지가 되는 일본의 협조가 필요하였기에 양국의 수교를 주선하게 된다. 1951년 10월 21일부터 열린 예비회담을 거쳐 1952년 2월 15일 동경에서 제1차 한일회담이 열.. 역사속에 오늘, 6월/6월 3일 2017.04.30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결성 1989년 5월 28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결성 전교조의 효시는 4·19 혁명 직후인 1960년 5월 22일 결성된 한국교원노동조합이다. 교원노조는 평교사의 노동권 보장과 어용인 대한교련의 해체를 주장하며 대대적인 탈퇴운동을 벌였다. 그 결과 8만2천명 선이던 대한교련의 회원수는 5만 .. 역사속에 오늘, 5월/5월 28일 2017.04.22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창설 1964년 5월 28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창설 팔레스타인은 오랫동안 오스만 제국의 영토이었다.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에 팔레스타인 지역에 살던 팔레스타인인과 유대인은 하나의 지역 사회를 이루어 분쟁 없이 지냈다. 19세기 말 팔레스타인의 인구는 약 50만 명이었고 그 가운데 유대인.. 역사속에 오늘, 5월/5월 28일 2017.04.22
페루서 축구경기 중 관중 난동 500여명 압사, 정부 계엄령 선포 1964년 5월 24일, 페루서 축구경기 중 관중 난동 500여명 압사, 정부 계엄령 선포 1964년 5월 24일 아르헨티나와 페루간에 벌어진 축구경기에서 심판의 불공정한 판정에 불만을 품은 관중들이 폭동을 일으켜 500명이 사망하고 천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페루 정부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기.. 역사속에 오늘, 5월/5월 24일 2017.04.15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 발생 1964년 5월 21일,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 발생 1964년 5월 21일 새벽 공수단 제1특전단 소속 최문영 대령이 지휘하는 장병 8명과 공수단 출신 민간인 2명이 완전무장하고 법원에 난입, 소동을 벌였다. 민정 이양 후 박정희의 졸속적인 한일회담이 추진되던 중 1964년 5월 20일 서울대학교 운동장.. 역사속에 오늘, 5월/5월 21일 2017.04.10
국공유지 불하 사건 1964년 4월 10일, 국공유지 불하 사건 1964년 4월 10일 서울 사직공원 부정 불하사건이 언론에 보도되자 국회는 국공유지 부정불하 특별조사위원회를 구성, 국공유지 부정불하사건조사에 나섰다. 공화 7, 민정 3, 삼민 2의 비율로 구성된 조사위는 사직, 삼청, 남산 등 세 공원과 수유동 임야, 서.. 역사속에 오늘, 4월/4월 10일 2017.02.21
더글라스 맥아더 원수 사망 1964년 4월 5일, 더글라스 맥아더 원수 사망 우리에게 참 고마운 맥아더 장군이 8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1, 2처 세계대전의 그리고 한국전쟁의 전쟁영웅이었지만 트루먼과의 갈등으로 예편하였고, 1951년 4월19일 상하 양원합동회의에서의 연설에서 남긴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 역사속에 오늘, 4월/4월 5일 2017.02.13
조중변계조약 (북한 vs. 중국) 발효 1964년 3월 20일, 조중변계조약 (북한 vs. 중국) 발효 1712년 청나라는 서남쪽으로 정복전쟁을 활발하게 전개하면서 백두산 남쪽에 정계비(定界碑)를 세웠다. 그런데 '천지에서 압록강과 토문강의 발원지를 경계로 삼는다'고 기록해 놓았다. 바로 이 '토문강의 발원지'가 분쟁의 씨앗이었다. 토.. 역사속에 오늘, 3월/3월 20일 2017.01.15